1. 내용 체계 관련
-'실제' : 성취기준 선정 범주, 국어 활동
-'지식', '기능', '태도' : 내용 요소 선정 범주, 세부적인 내용, 상호작용
ㄴ지식 : 형식적, 본질적, 명제적 지식 -개념/특성/담화와 글의 유형/맥락 등
ㄴ기능 : 사고의 절차 및 과정 -영역마다 하위 범주가 다름
ㄴ태도 : 정의적 요소 -가치와 중요성/동기와 흥미 등
2. 교과서 관련
-교과서의 특징 : 학습자의 능력과 흥미에 부합, 통합적 언어 활동 강조, 창의성과 인성 함양, 학년군 계열성 고려(학년 중점/학년 지속 성취기준), 연계성/통일성 강화, 맥락 강조(상황, 사회/문화적 맥락), 텍스트의 생산, 수용 강조(전략, 산출), 학습 과정 강조(전/중/후 활동), 자기 주도적 학습(안내 기능 강화), 언어 활동의 연속성과 운영의 융통성 확보(연차시), 기초 학습 능력 강화, 학생 간 상호작용 강조(협의, 토론, 공동 구성), 언어 사용의 태도 강화
-교과서의 외형 체제
*'국어' 단원 구성 특징
도입 학습
|
이해 학습
|
적용 학습
|
정리학습
| ||
도입
|
지식, 기능, 태도 학습
|
선수 학습한 지식, 기능, 태도의 종합/적용
|
정리
| ||
-단원명
-학습목표안내
-학습목표 관련 상황 제시
(그림, 사진)
|
<지식>
-차시학습목표
-원리이해 활동
(장르 지식, 맥락 파악 및 이해, 조건 지식)
|
<기능>
-차시학습목표
-기능이해활동
-기능연습
|
<태도>
-차시학습목표
-태도증진활동
|
-차시학습목표
-과정중심활동
-실제 제재 대상, 종합적 적용활동
|
학습내용 정리 및 평가
|
*'국어 활동'단원 구성 체제
도입
|
생활 속에서
|
더 찾아 읽기
|
우리말 다지기
|
놀며 생각하며
|
글씨 연습
|
-단원명
-국어 활동 학습 안내
|
-차시학습목표
-생활실천학습
-언어태도 점검 및 습관 형성
|
-단원 관련 주제, 소재, 구조, 장르, 작가 등의 상호 텍스트적 읽기 학습을 통한 단원 목표 구현
-창의적 사고 및 인성을 함양
-독서 능력 증진과 독서 습관화
|
-발음, 맞춤법, 낱말, 어휘, 문장학습
-국어사랑태도 함양
|
-창의적 사고 증진 활동
|
단원에 나오는 낱말 쓰기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