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월 21일 월요일

2009 도덕과 지도서 총론 수업과정절차

-엄밀히 얘기해서 수업모형과는 다른거지만 같이 보면 좋으니 같은 카테고리에 넣는걸로..


(1) 4단계 심층화 모델과 수업 과정/절차

 1차시
(기본학습)
 2차시
(발전학습)
 3차시
(발전학습2)
4차시
(심화학습)
 인지적 접근
(도덕 이성)
정의적 접근 (도덕심정)
행동적 접근
(도덕행동) 
지식이해 수업과정
모범감화 수업과정 
실습실연 수업과정 
가치판단 수업과정 
가치심화 수업과정 
실천체험 수업과정 

-도덕 심리학적 고려 (3측면 6요소의 내면화 과정)
-현실적 고려 (주제마다 4시간 4차시, 단원 당 1개월 소요)



 [지식이해 수업과정, 절차]

1. 학습문제 인식 및
동기 유발
도덕적 가치규범과 생활의 관련성 파악,
학습 의욕 제고 및 학습 방향 인식, 문제의식 갖기 등
2. 가치 사례 제시 및 
관련 규범 파악
다양한 자료 제시,
규범적 진술(저학년), 규범적 용어(고학년)
3. 가치규범 탐구 및 
이해의 심화
신념화가 이루어지는 단계,
도덕적 삶에 대한 앎의 주관화와 공통화, 초점화
사례분석을 통한 명료한 인식, 합리적 이해 도모
학설/사실/원리 인식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도덕적 존재로의 성장과 성숙 유도, 반성과 성찰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
학습 내용 정리, 후속 과제 부여, 생활 적용, 실천 장려 등


[가치판단 중심의 수업과정, 절차]

1. 학습문제 인식 및
동기 유발
동기유발, 주제 인식, 자율적 탐구 장려
2.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및 분석
다양한 유형의 문제 사태 중 적절히 선택하여 제시
성격 분석, 관련 규범 찾기
3. 도덕 판단, 
합리적 의사 결정의 학습
당위적 가치판단의 진위 해명
(개념, 용어 의미, 결과, 상위 원리 지지 확인 등)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도덕적 정서와 의지 심화, 반성과 성찰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
학습 내용 정리, 후속 과제 부여, 생활 적용, 실천 장려 등


[모범강화 중심의 수업과정, 절차]

1. 학습문제 인식 및
동기 유발
동기유발, 주제 인식, 문제인식 파악
2. 도덕적 모범의 제시와
관련 내용 파악
모델링 이론, 대리경험, 간접경험 제공, 강화요인 포함
3. 도덕적 모범의 탐구
및 감동 감화
긍정적 도덕감정 공유, 관련 지적 탐구 수행,
가치의 자각화, 주관화, 공통화 이룩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도덕적 정서와 의지 심화, 반성과 성찰, 강화 제공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
학습 내용 정리, 후속 과제 부여, 생활 적용, 실천 장려 등


[가치심화 중심의 수업과정, 절차]

1. 학습문제 인식 및
동기 유발
동기유발, 주제 인식
2. 가치 사례의 제시
및 성찰
바람직한 자세에 대한 주체적 자각, 기존 입장 성찰
3. 가치규범의 추구
및 심화
내면의 심정화 활동(개사하기, 사례 찾기, 글쓰기 등)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가치 주체화, 개별화, 의지 심화, 반성과 성찰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
학습 내용 정리, 후속 과제 부여, 생활 적용, 실천 장려 등


[실습실연 중심의 수업과정, 절차]

1. 학습문제 인식 및
동기 유발
동기유발, 주제 인식, 실습실연 상황 준비
2. 모범 행동의 제시
및 이해
지적 이해 선행, 시청각 자료 활용
3. 모범 행동의 실습실연태도 강조, 개별 지도를 통한 주체화, 개별화 도모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구체적 실천 계획 수립, 경험 교류 및 일반화, 성찰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
학습 내용 정리, 후속 과제 부여, 생활 적용, 실천 장려 등

[실천체험 중심의 수업과정, 절차]

1. 학습문제 인식 및
동기 유발
동기유발, 주제 인식, 축소 가능
2. 실천체험 주제 설정
및 계획
사전지식, 준비물, 보고 등 활동 전반 계획 수립
(소모적 차시 소비x, 다른 시간 활용)
3. 실천체험 학습
활동의 실행
집단탐구, 현장체험학습, 협동학습, 봉사활동학습,
자치활동, 행사참여, 견학, 답사, 모금운동 등
4.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발표 및 질의응답, 경험의 공유와 일반화, 공동의 각성
5.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
활동 평가, 반성, 모범 시상 및 강화, 지속적 실천 장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