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교 1~2 학년 ]
(1) 수와 연산
수는 사물의 개수나 양을 나타내기 위해 발생하였다 . 자연수는 수 세기를 통해 도입되며 , 0 과 자연수에 대한 덧셈 , 뺄셈 , 곱셈이 정의된다 . 수는 수학에서 다루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으로 , 실생활뿐만 아니라 타 교과나 수학의 다른 영역을 학습하는 데 필수적이다 . 또한 사칙계산은 수학 학습에서 습득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며 , 이후 학습을 위한 기초가 된다 .
네 자리 이하의 수
[2 수 01-01] 0 과 100 까지의 수 개념을 이해하고 , 수를 세고 읽고 쓸 수 있다 .
[2 수 01-02] 일 , 십 , 백 , 천의 자릿값과 위치적 기수법을 이해하고 , 네자리 이하의 수를 읽고 쓸 수 있다 .
[2 수 01-03] 네 자리 이하의 수의 범위에서 수의 계열을 이해하고 , 수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
[2 수 01-04] 하나의 수를 두 수로 분해하고 두 수를 하나의 수로 합성하는 활동을 통하여 수 감각을 기른다 .
두 자리 수 범위의 덧셈과 뺄셈
[2 수 01-05] 덧셈과 뺄셈이 이루어지는 실생활 상황을 통하여 덧셈과 뺄셈의 의미를 이해한다 .
[2 수 01-06]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덧셈과 뺄셈의 계산 원리를 이해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
[2 수 01-07] 덧셈과 뺄셈의 관계(역연산관계)를 이해한다 .
[2 수 01-08]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세 수의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다 .
[2 수 01-09] □가 사용된 덧셈식과 뺄셈식을 만들고 ,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
곱셈
[2 수 01-10] 곱셈이 이루어지는 실생활 상황을 통하여 곱셈의 의미를 이해한다 .
[2 수 01-11] 곱셈구구를 이해하고 , 한 자리 수의 곱셈을 할 수 있다 .
( 가 ) 학습 요소
• 덧셈 , 뺄셈 , 곱셈 , 짝수 , 홀수, + , - , *, / , > , <
( 나 )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자연수가 개수 , 순서 , 이름 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을 알고 , 실생활에서 수가 쓰이는 사례를 통하여 수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
• 수 세기가 필요한 장면에서 묶어 세기 , 뛰어 세기의 방법으로 수를 세어 보고 , 실생활 장면에서 짝수와 홀수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 두 자리 수를 10 개씩 묶음과 낱개로 나타내게 함으로써 위치적 기수법의 기초 개념을 형성하게 한다 .
• 수를 분해하고 합성하는 활동은 20 이하의 수의 범위에서 한다 .
• ʻ더한다ʼ , ʻ합한다ʼ , ʻ ~ 보다 ~ 큰 수ʼ , ʻ ~ 보다 ~ 작은 수ʼ , ʻ뺀다ʼ , ʻ덜어 낸다ʼ , ʻ합ʼ , ʻ차ʼ 등의 일상용어를 사용하여 덧셈과 뺄셈의 의미에 친숙하게 한다 .
• 덧셈은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다루되 , 합이 세 자리 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
• 덧셈과 뺄셈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하는 활동을 통하여 연산 감각을 기르게 한다 .
• 한 가지 상황을 덧셈식과 뺄셈식으로 나타내는 활동을 통하여 덧셈과 뺄셈의 관계를 이해하게 한다 .
• □가 사용된 덧셈식과 뺄셈식은 □의 값을 직관적으로 구할 수 있는 수준으로 다룬다 .
• 학생들에게 친근한 실생활 상황을 이용하여 덧셈과 뺄셈에 관련된 문제를 만들고 해결하게 한다 .
• 곱셈의 의미는 배의 개념과 동수누가를 통하여 다루고 , 1 의 곱과 0 의 곱은 실생활과 관련지어 다룬다 .
• 수와 연산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한다.
( 다 )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덧셈과 뺄셈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하는 활동을 평가할 때에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계산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이를 지나치게 형식화하지 않도록 관찰 , 면담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
(2) 도형
교실 및 생활 주변의 사물을 관찰함으로써 여러 가지 입체도형의 모양이나 평면도형의 모양을 파악할 수 있으며 , 이는 평면도형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로 확장된다 . 평면도형이나 입체도형의 개념과 성질에 대한 이해는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초가 되며 , 수학의 다른 영역의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또한 도형을 다루는 경험으로부터 비롯되는 공간 감각은 수학적 소양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
입체도형의 모양
[2 수 02-01] 교실 및 생활 주변에서 여러 가지 물건을 관찰하여 직육면체 , 원기둥 , 구의 모양을 찾고 , 그것들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 수 있다 .
[2 수 02-02] 쌓기나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입체도형의 모양을 만들고 , 그 모양에 대해 위치나 방향을 이용하여 말할 수 있다 .
평면도형과 그 구성 요소
[2 수 02-03] 교실 및 생활 주변에서 여러 가지 물건을 관찰하여 삼각형 , 사각형 , 원의 모양을 찾고 , 그것들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꾸밀 수 있다 .
[2 수 02-04] 삼각형 , 사각형 , 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 그 모양을 그릴 수 있다 .
[2 수 02-05] 삼각형 , 사각형에서 각각의 공통점을 찾아 말하고 , 이를 일반화하여 오각형 , 육각형을 알고 구별할 수 있다 .
( 가 ) 학습 요소
• 삼각형 , 사각형 , 원 , 꼭짓점 , 변 , 오각형 , 육각형
( 나 )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쌓기나무를 이용한 모양 만들기 , 칠교판을 이용한 모양 채우기나 꾸미기를 통하여 도형에 대한 공간 감각을 기르게 한다 .
• 입체도형의 모양이나 평면도형의 모양을 다룰 때 모양의 특징을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모양을 분류하고 , 분류한 모양을 지칭하기 위해 일상용어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
• 입체도형의 모양과 평면도형의 모양을 이용한 모양 만들기와 꾸미기의 주제는 학생들에게 친근한 소재인 동물 , 탈 것 , 건물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한다 .
• 쌓기나무로 만든 입체도형의 모양에 대해서 ʻ ~ 의 앞ʼ , ʻ ~ 의 오른쪽ʼ , ʻ ~ 의 위ʼ , ʻ 2 층ʼ 등을 사용하여 말하게 한다 .
• 평면도형의 모양을 이용한 모양 꾸미기 활동에서는 스티커 , 잡지에서 오려낸 모양 종이 등을 활용하게 할 수 있다 .
• 삼각형 , 사각형 , 원은 예인 것과 예가 아닌 것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활동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
• 삼각형과 사각형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통하여 도형의 이름과 변 또는 꼭짓점의 개수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 그 관계를 일반화하여 오각형과 육각형을 구별하여 이름 지을 수 있게 한다 .
• 도형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한다 .
( 다 )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여러 가지 모양 만들기 , 꾸미기 , 채우기 활동을 평가할 때에는 과정 중심 평가를 한다 .
(3) 측정
생활 주변에는 시간 , 길이 , 들이 , 무게 , 넓이 등 다양한 속성이 존재한다. 측정은 여러 가지 속성의 양을 비교하고 , 단위를 이용하여 재거나 어림해봄으로써 양을 수치화하는 것이다 . 측정 과정에서 경험하는 양의 비교 , 측정 , 어림은 수학 학습을 통해 길러야 할 중요한 기능이고 , 이는 실생활이나 타 교과의 학습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 또한 측정을 통해 길러지는 양감은 수학적 소양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
양의 비교
[2 수 03-01] 구체물의 길이 , 들이 , 무게 , 넓이를 비교하여 각각 ʻ길다 , 짧다ʼ , ʻ많다 , 적다ʼ , ʻ무겁다 , 가볍다ʼ , ʻ넓다 , 좁다ʼ 등을 구별하여 말할 수 있다 .
시각과 시간
[2 수 03-02] 시계를 보고 시각을 ʻ몇 시 몇 분ʼ까지 읽을 수 있다 .
[2 수 03-03] 1 시간은 60 분임을 알고 , 시간을 ʻ시간ʼ , ʻ분ʼ으로 표현할 수 있다 .
[2 수 03-04] 1 분 , 1 시간 , 1 일 , 1 주일 , 1 개월 , 1 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한다 .
길이
[2 수 03-05] 길이를 나타내는 표준 단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 1cm 와 1m 의 단위를 알며 , 상황에 따라
적절한 단위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
[2 수 03-06] 1m 가 100cm 임을 알고 , 길이를 단명수와 복명수로 표현할 수 있다 .
[2 수 03-07] 여러 가지 물건의 길이를 어림하여 보고 , 길이에 대한 양감을 기른다 .
[2 수 03-08] 구체물의 길이를 재는 과정에서 자의 눈금과 일치하지 않는 길이의 측정값을 ʻ약ʼ으로 표현할 수 있다 .
[2 수 03-09] 실생활 문제 상황을 통하여 길이의 덧셈과 뺄셈을 이해한다 .
( 가 ) 학습 요소
• 시 , 분 , 약 , cm, m
( 나 )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양의 비교는 직관적인 비교 , 직접 비교 , 간접 비교(기준/매개 비교) 등을 상황에 따라 알맞게 다룬다 .
• 시각 읽기는 학생의 경험을 소재로 하고 , 학생들이 모형 시계를 조작하며 ʻ몇 시ʼ , ʻ몇 시 30 분ʼ , ʻ몇 시 몇 분ʼ , ʻ몇 시 몇 분 전ʼ 등의 시각을 읽게 한다 .
• 시간의 여러 가지 단위를 지도할 때 단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 지나친 단위환산은 다루지 않는다 .
• 표준 단위를 도입하기 전에 여러 가지 임의 단위를 사용하여 구체물의 길이를 재어보게 한다 .
• 측정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한다 .
( 다 )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ʻ몇 시 몇 분 전ʼ의 시각 읽기를 평가할 때 ʻ 5 분 전ʼ , ʻ 10 분 전ʼ , ʻ 15 분 전ʼ 등과 같이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경우를 다루고 , ʻ 2 시 48 분ʼ을 ʻ 3 시 12 분 전ʼ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복잡한 경우는 다루지 않는다 .
• 1 일 , 1 주일 , 1 개월 , 1 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할 때에는 달력을 이용하여 그 관계를 이해하는지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 .
(4) 규칙성
규칙성은 생활 주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현상을 탐구하는 데 중요하며 함수 개념의 기초가 된다. 생활 주변이나 여러 현상에서 찾을 수 있는 규칙은 실생활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고 , 규칙찾기를 통해 추론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규칙 찾기
[2 수 04-01] 물체 , 무늬 , 수 등의 배열에서 규칙을 찾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
[2 수 04-02] 자신이 정한 규칙에 따라 물체 , 무늬 , 수 등을 배열할 수 있다 .
( 가 )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물체나 무늬의 배열에서는 크기 , 색깔 , 위치 , 방향 등에 대한 단순한 규칙을 다루고 , 그 규칙을 말 , 수 , 그림 , 기호 , 구체물 , 행동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게 한다 .
• 물체나 무늬의 배열에서 다음에 올 것이나 중간에 빠진 것을 추측하여 말하게 한다 .
• 수의 배열뿐만 아니라 수 배열표 , 덧셈표 , 곱셈표를 활용하여 수의 규칙을 찾고 , 자신이 정한 규칙에 따라 색칠하거나 ○ , ∕ 등으로 나타내게 한다 .
• 자신의 규칙을 창의적으로 만들어보고 , 다른 사람의 배열에서 규칙을 찾아보거나 규칙에 대해 서로 말하게 한다 .
• 규칙성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한다.
( 나 )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규칙 찾기를 평가할 때 학생이 자신의 규칙이나 다른 학생의 규칙에 대해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평가한다 .
(5) 자료와 가능성
자료의 분류와 정리는 중요한 통계 활동이다 . 다양한 자료를 분류하고 정리함으로써 미래를 예측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기본 소양을 기를 수 있다 .
분류하기
[2 수 05-01] 교실 및 생활 주변에 있는 사물들을 정해진 기준 또는 자신이 정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개수를 세어보고 , 기준에 따른 결과를 말할 수 있다 .
표 만들기
[2 수 05-02] 분류한 자료를 표로 나타내고 , 표로 나타내면 편리한 점을 말할 수 있다 .
그래프 그리기
[2 수 05-03] 분류한 자료를 ○ , ×, / 등을 이용하여 그래프로 나타내고 , 그래프로 나타내면 편리한 점을 말할 수 있다 .
( 가 ) 학습 요소
• 표 , 그래프
( 나 )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분류하기에서는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소재를 활용한다 .
• 기준을 정하여 분류할 때 학생들이 정한 다양한 기준을 존중하되 , 분명하지 않은 기준일 경우에는 분류하는 것이 어려움을 인식하게 한다 .
• 표를 만들 때 자료가 중복되거나 빠지지 않도록 세어보는 방법을 함께 지도한다 .
•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기는 생활 주변에 있는 자료들을 활용하되 , 그 기준이 분명하고 간단한 것을 다룬다 .
• 자료와 가능성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한다 .
( 다 )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분류하기를 평가할 때 학생들의 수준에 비해 어려운 분류 대상이나 분류 기준을 사용하지 않
는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